`
thumbnail image
2017-07-02 17:565 min read

무례란 무엇인가

최근에 페이스북을 보다가 예의없는 사람에 대해 쓴 글을 보게 되었는데 간결하고, 관점이 재밌고 무엇보다 무릎을 치게 되는 시원함이 있어 그 글을 공유하고 내 생각을 얹어 글을 조금 확장해보고자 한다. 근래에 정의란 무엇인가(Michael Sandel), 죽음이란 무엇인가(Shelly Kagan), 국가란 무엇인가(유시민) 등 '~란 무엇인가' 류의 책을 많이 읽어 제목을 따라해봤다(..).

아래는 신상철님의 글이다.

https://www.facebook.com/shinestory/posts/1279056888889466

결론은 딱 11자다. 예의 없는 사람은 멍청하다.

27년 밖에 살지 않은 내 인생에서도 별의별 이상한(..) 사람, 예의 없는 사람, 눈에 뻔히 보이게 남을 이용하려는 사람, 상대를 없는 사람 취급하는 사람 등 갖가지 종류의 사람들을 봐왔다. 내가 직접 겪은 것도 있고 목격한 것도 있다. 글 쓰면서 주마등처럼 그때의 기억들이 스쳐지나가고 있다. 지금 회사 입사 전에 했던 면접도 떠오르고 전 직장 사람들도 떠오른다. 후후.. 열이 오르네. 다 사람구실 하면서 살고는 있으려나 그게 제일 궁금하다.

거두절미 하고, 내심 어떻게 저런 인간들(?)이 세상에 존재하는가에 대해서 누군가 설명해주길 바랐다. '저런 사람들은 이러한 환경적, 문화적, 개인적, 사회적 요인에 의해 그런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을 갖게 되었으리라~' 식의 해석이 필요했다. 그래야만 편안하고 안정된 마음으로(...) 앞으로도 있을 이런 상황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런데 11자라니! 단지 멍청한 거였어?.. 단순히 정신승리적인 통쾌함 뿐만 아니라 간결하고 똑 부러지는 논리가 뒷받침하고 있기에 난 드디어 해석이라 할만한 걸 얻게 되었다. 그래서 이왕 이렇게 예의 없는 사람에 대해 논리적 해석을 득하게 된거 한번 더 깊게 생각해 보기로 했다. 지능과 정서 개념에서부터 시작해보자. 단순히 예의 없음은 지적 능력의 결함이 아닌 나쁜 정서에서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

분류하기 좋아하는 인류는 자연을 분해하고 분석하다가 언제부터인가 스스로를 이해하고자 자신을 분해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초기 심리학의 고군분투로 탄생한 것 중 하나가 인지능력과 정서의 분리이다. 상황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정서를 학문의 범주로 끼워맞출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인간 마음에 대한 과학적 분석의 시도이므로 폄하할 생각도, 폄하할 위치도 아니지만 분리할 수 없는 걸 분리하려고 시도했다고 생각한다. 그 시도의 여파로 정말 우리 마음 어딘가에는 지능과 정서가 따로 움직인다고 생각하게 되는 부분이 많다. 이걸 정말 분리할 수 있을까? 세상과 사람에 대해 좋은 마음 혹은 나쁜 마음을 갖게 되는 것이 인지능력과 정말 서로 독립적일까?

단순한 예를 들어보자. 주어진 정보를 잘 분석하고, 편재되어 있는 정보들 사이에서 흐름과 패턴을 객관성있게 잘 읽어내는 사람이 있다고 하자. 이런 사람은 주변에 일어나는 일들, 사람들, 나아가 사회가 어떻게 작동하고 흘러가는지를 마냥 지켜보고 흘려보내지 않을 것이다. 인간은 언제나 자신에게 주어진 상황에 대해 합리적인 해석을 해야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 사람은 상황을 잘 주시하고 있고 또 어느정도 이해도 하고 있다. 반대로 정보들 사이의 관계성과 흐름을 판단하지 못한다면, 다른 말로 인지능력이 부족하다면 전체를 보지 못해 객관성이 떨어지게 된다. 즉, 편견이 여러 부분에서 점점 심해지게 되고 이를 두고 '편협'하다고 한다. 이게 대체 무슨 말인가? 이걸 현실의 예로 치환해보자. 근처의 사람만 봐도 객관성이 두드러지는 사람과 편협한 사람이 각각 어떻게 행동하는지 보이지 않는가? 편견이 심한 사람일 수록 어떤 사람을 대할 때에도 그 차이가 심해진다. 이런 사람은 어떤 사람이든 비슷하게 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사람을 대하는데에도 정보 분석이 동반된다. 가령, 이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 어디 출신인가, 말하는 습관이 어떠한가, 어떤 옷을 입는가, 최근 무슨 일을 겪었는가 등등 사람에 따라 누군가를 대하기에 앞서 자신의 가치관을 바탕으로 수 많은 정보 분석과 가치 판단이 선행된다. 그래서 위의 편협한 사람은 객관적 분석 능력이 부족한 것이고 - 한쪽으로 치우쳐 생각하게 되는 경향이 심하고 - 누군가를 대할 때에도 합리적으로 대할 줄을 모르고 - 인지능력이 뒤떨어지는 것이다. 지금 대쉬(-)로 표현한 구절은 논리적으로 거의 동등한 것들이다. 그래서 이를 한마디로 바꿔 말하면, 편협은 인지능력의 결함으로 설명해낼 수 있다.

나 또한 이렇게 설명해놓고 보니 이 이론이 꽤나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이 많은 것 같다. 신기한걸..? 여기까지 써놓고 보니 인지능력의 부조화가 심한 환자들이 편협성이 커지고 사회성이 급격히 후퇴한다는 내용의 책도 떠오른다. 그렇다. 편견이 심한 것은 인지능력이 뒤떨어지거나 의식적으로 정보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벌써 많은 정치인들이 떠오르는 것은 기분 탓만은 아닐 것이다(..).

다시 지능과 정서의 분리로 돌아와, 따라서 이 둘은 분리할 수도 없고 분리되어 있지도 않다. 다만 분리해서 생각은 해볼 수 있다. 분리하여 심리학적으로 논지를 전개해 나갈 수는 있다. 그런데 딱 거기까지다. 인간 정신에 대한 설명과 해석의 한가지 관점을 추가시킨 것 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이를 상철님의 글처럼 실생활에 적용해보면, 예의가 실종된 사람, 자신보다 경제적, 육체적, 정신적, 지적으로 약해보이는 사람을 얕잡아보는 사람, 나아가 무시하는 사람, 함부로 대하고 하대하는 사람, 이용하려는 사람, 속이려는 사람 등 이 모든 카테고리의 사람들(인간들이라 하고 싶다)은 결론적으로 멍청하거나 알고는 있지만 연유야 어찌 되었든 의식적으로 그렇게 행동하는 것이다. 어쨌거나 두가지 경우 모두 씁쓸하다..

그런데 여기서 혹자는 정말 철저하게 남을 속이고 이용하는 사람이 어쨌든 이득을 많이 보고 잘 살게 될 가능성이 크니까 더 똑똑한거 아니냐고 의구심을 품을 수 있다. 남을 쉽게 무시하고 할 말 못할 말 다 내뱉고 사는 사람이 마음 후련하게 사는 것이니 정신적으로도 더 편한 삶을 사는 것 아니냐고 반문할 수 있다. 아니다. 그런 사람들은 시야가 좁은 것이고 편협한 것이다. 단기적으로 보면 맞을 수 있지만 결국 멀리 보면 그 방식은 실패한다. 행복한 삶도 아니다. 이제까지의 역사가 보여주듯 그런 사람들의 거의 전부는 말로가 좋지 못하다. 멍청하다는 거다. 멀리 보는 것도 지적 능력이다. 멍청하든 의도적으로 그렇게 살든 이래나 저래나 피곤한 삶이고 사랑받는 삶도 아니다.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은 방식이다..

위의 경우들을 수도 없이 본 선대의 사람들이 이것을 대상화시킨 개념이 바로 도덕과 윤리이다. 이 개념들이 괜히 나온게 아니다. 도덕이란 개념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찾아보면 상당 부분 이런 내용이다. '그냥 사람 좋게 사는게 좋은거지 암~' 이러고 나온 개념이 아니란 거다. 그래서 타고난다고 생각했던 이 인성 혹은 도덕성을 '교육'하는 것이다. 마음의 태도와 인성 모두 지적 능력이라는 말이다. 좋은 마음과 예의 바름이 인생의 마지막까지 미칠 영향을 수도 없이 보고 집대성한 이 윤리를 그렇게 주변에서 보고 듣고 학교에서, 가정에서 교육받았음에도 그 이치를 깨닫지 못해 예의없이 행동하고 쉽게 남을 얕잡아보는 것은 멍청하다고 밖에 설명할 수 없다. Edward Wilson의 On Human Nature와 Richard Dawkins의 The Selfish Gene이라는 책을 보면 동물 세계에서도 '처음엔 남에게 좋게 대하기, 나에게 잘해주면 그 상대에게 잘 대하기, 나에게 해를 끼치면 무시하거나 되갚아주기'라는 소위 호혜주의 혹은 Tit for tat 전략이 가장 장래있는 생존 전략이다. 이 전략을 따르지 않은 개체 혹은 종은 종족 번식에 어려움을 겪는다. 심지어 이 호혜주의가 유전적 형질로 생기게 되었다는 이론도 있다. 동물도 안다는 거다 예의가 가져올 좋은 영향을. 이쯤되면 예의 없는 사람은 편협하고 지적능력이 떨어질 뿐더러 동물만도 못한 사람이 된다(...). 그렇다고 미안해 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그래서 예의 없는 사람을 보면 어떡하란 말인가? 상철님의 말씀대로 무시하면 된다. 설득할 수도 없고, 싸울 수도 없고, 그렇다고 교화시킬 수도 없다. 그리고 그렇게 할 수 있다고 해도 거기에 들일 시간과 노력, 에너지가 너무 아깝다. 그래서 정중히(?) 무시하고 할 일을 묵묵히 하면 된다.

이제 마무리지을 때가 왔다. 주변에 쉽게 고함지르고, 무시하고, 남을 얕잡아보는 사람이 있는가? 멍청한 거니까 무시하면 된다. 물론 '예의있고 나이스'하게 무시해야 한다. 그래야 지적이니까. 이제 예의없는 사람을 깨끗이 무시할 이론적 토대가 구색을 갖추었으니 실컷 무시하고 다니자. 아 정리가 잘 된 느낌이다!

    2017

Written at Cafe Knock,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 평촌2로1번길 35-1

푸터푸터